Wednesday, August 22, 2018

[Arduino] wemos WiFi D1 R1 보드 시작하기(esp8266) Getting started with wemos WiFi D1 R1board (esp8266)




1. Wemos 보드 라이브러리 설치

1. Installing the Wemos Board Library


1-1. 아두이노 IDE에서 환경설정 클릭합니다.

1-1. In the Arduino IDE, click Preferences.





1-2.  '추가적인 보드 매니저 URLs' 에 다음 주소 넣습니다.

"http://arduino.esp8266.com/stable/package_esp8266com_index.json"


1-2. Put the following address in 'Additional board manager URLs'.

"http://arduino.esp8266.com/stable/package_esp8266com_index.json"






1-3. 아두이노 IDE에서 '툴' - '보드'- '보드매니저' 로 들어갑니다.

1-3. In the Arduino IDE, enter 'Tools' - 'Boards' - 'Board Managers'.





1-4. 'esp8266 by ESP8266 Community' 를 설치합니다.

1-4. Install the 'esp8266 by ESP8266 Community'.




1-5. 아두이노 IDE를 껐다 키면 '툴'- '보드' 에 Wemos 보드가 추가됩니다. 

1-5. If you turn off the Arduino IDE, the Wemos board will be added to 'Tools' - 'Board'.



2. D1 R1보드로 'blink'예제 실행하기

2. Run the 'blink' example on the D1 R1 board


2-1. '툴' - '보드' - 'Wemos D1 R1' 클릭합니다.

2-1. Click 'Tools' - 'Board' - 'Wemos D1 R1'.




2-2. 다음과 같이 세팅을 합니다.

     포트는 D1 R1 보드가 연결되어 있는 포트로 설정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아두이노 보드를 컴퓨터에 연결해야 하겠죠?)

     대부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니 upload Speed와 포트만 변경하면 됩니다.


2-2. Make the following settings.

     The port is set to the port to which the D1 R1 board is connected.

     (To do that, first you need to connect the computer to the Arduino board?

     Most of them are set automatically, so you only need to change the upload speed and port.




2-3. '예제' - 'ESP8266' - 'blink'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2-3. Click 'Example' - 'ESP8266' - 'blink'.




2-4. 오른쪽 화살표 모양의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업로드 후 보드의 LED가 깜빡거립니다.

      업로드 시간은 컴퓨터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40초 정도 걸렸습니다.


2-4. If you click the "Upload" button with the right arrow, the board's LED will blink after uploading.

      Upload time will vary from computer to computer, but I took 40 seconds.


3. WiFi 서버 예제 실행하기

3. Run the WiFi server example


3-1. '예제' - 'ESP8266WebServer' - 'HelloServer'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3-1. Click 'Example' - 'ESP8266WebServer' -> 'HelloServer'.




3-2. 빨간색 네모박스 안에 "...."을 지우고"와이파이 이름", "와이파이 비밀번호" 를 넣습니다.
     
     " "(큰 따옴표)는 지우시면 안됩니다.


3-2. In the red square box, delete "...." and insert "WiFi name" and "WiFi password".
     
     "" (Double quotation marks) should not be removed.




3-3. '툴' - '시리얼모니터'를 클릭한 후 시리얼 모니터가 열리면 업로드를 합니다.

      아니면 빨간 네모박스를 클릭해도 됩니다.

      (※ 전 업로드를 한 후에 시리얼 모드를 키면 아무런 반응이 없더라구요.) 


3-3. Click 'Tools' - 'Serial Monitor' and then upload it when the serial monitor is opened.

      Or you can click the red square box.

      (※ I did not get any response when I turned on serial mode after uploading.)

   
    

3-4. 업로드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3-4. When uploading is completed, the following screen appears.



Tuesday, August 21, 2018

[Arduino] 아두이노 시작하기 Getting started with Arduino

1. 아래 사이트에서 아두이노 IDE를 다운받는다.

  https://www.arduino.cc/en/main/software



- 왼쪽편에 OS 종류가 나와있다. 자신에게 필요한 OS에 맞춰 다운로드 한다.


2. 아두이노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첫 번째 방법]

컴퓨터에서 자동적으로 아두이노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못하는경우.

1. 장치관리자의 포트를 본다.

2. '알 수 없는 장치' 오른쪽 클릭 후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클릭한다.

3.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찾아보기' 클릭한다.

4. 아두이노 IDE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로 가서  'driver'경로를 클릭한다.
5.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두 번째 방법]

아래 사이트에서 CH340이나 CH341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로드 후 'setup' 에 들어가 'install'하면 된다. 






1. Download the Arduino IDE from the following site.




- On the left side is the OS type. Download it according to the OS that you need.





2. Install the Arduino driver.



[First method]



The computer does not automatically install the Arduino driver.



1. View the Ports in Device Manager.



2. Right-click Unknown Device and click Update Driver Software.



3. Click 'Browse Software on Your Computer'.



4. Go to the path where the Arduino IDE is installed and click on the 'driver' path.



5. Install the driver.





[Second method]



You can download the CH340 or CH341 driver from the following site.


After downloading, enter 'setup' and 'install'.



Thursday, August 9, 2018

[Novel] 꿀벌 Honeybee


지구상의 수많은 꽃과 식물들의 수정이 꿀벌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꽃과 식물들의 수정을 꿀벌만이 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벌들에 의해 유지되는 생태계는 그 기초가 무너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생태계의 제일 상위층인 인류에게도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때문에 인류는 꿀벌의 멸종을 대비하고자 꿀벌 로봇을 만들었다. 
 
꿀벌 로봇의 역할은 기존에 있던 꿀벌의 역할과 같았다.
 
꽃의 꿀을 모으면서 자동적으로 꽃의 수정을 도와주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꿀벌과 다른 점 하나는 말벌과 같은 잡식성 벌을 쉽게 제압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기존 꿀벌이 하나의 말벌을 제압하려면 수많은 꿀벌들의 희생이 필요하지만꿀벌 로봇은 몸도 단단하고 꿀벌보다 몇 십 배 쎈 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벌들의 최상위 계층에 있을 수 있었다.
 
그러자 생태계에서도 변화가 이루어졌다
 
잡식성 벌들이 꿀벌들을 습격하지 않기 시작한 것이다.
 
대신 잡식성 벌들은 꿀벌들과 동맹을 맺었다.
 
이제 꿀벌들은 꿀을 모으고 그 꿀을 보호하는 역할은 잡식성 벌들이 맡았다.
 
아무것도 못하고 꿀만 모으던 꿀벌들의 상황이 아무것도 못하고 꿀을 보호하는 잡식성 벌들의 상황으로 변한 것이다.
 
이 때문에 꿀을 원하는 모든 생물들 곰벌꿀오소리 그리고 인간은 전보다 꿀을 모으기 어려워졌다.
 
전에는 꿀벌만 제압하면 되었지만 이제는 여러 종류들의 벌을 제압해야 되었기 때문이었다.
 
인류는 꿀벌의 멸종을 막는 건 성공했지만 그로인해 또 하나의 문제가 생겼다.




Numerous flowers and plants on the planet are pollinated by bees.

The bee will not be able to pollinate in flowers and plants, but the ecosystem maintained by the bees will lose its foundations.

And it will affect humanity, which is the top echelon of the ecosystem.

Human beings have made bee robots to prepare for the extinction of bees.

The role of the bee robot was the same as that of the bee.

It will automatically help you pollinate the flower while collecting the flower's honey.

But one thing that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ees was that they could easily overcome omnivorous bees, such as wasps.

Existing bees need to sacrifice a single bee to sacrifice a single bee, but bee robots can be at the highest level of bees because their bodies are hard and have dozens times more poison than bees.

Then the ecosystem changed.

The omnivorous bees began not to attack the bees.

Instead, omnivorous bees allied with bees.

Now the bees collect the honey and protect the honey is the role of omnivorous bees.

The situation of honeybees that can not do anything and gather honey only turns into a situation of omnivorous bees protecting honey.

Because of this, all the creatures that want honey, bears, honey badgers and humans have become less able to collect honey than ever before.

Previously, only bees had to be subdued, but now they had to subdue various kinds of bees.


Humans succeeded in preventing the extinction of bees, but there was another problem.

[Novel] 생각 Thought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철학자 데카르트의 말이다.
 
인공지능이라는 학문이 생기면서, 많은 학자들은 로봇이 스스로 생각하게 만들려고 수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리고 학자들은 데카르트의 ‘생각하는 나’만이 나를 정의한다는 명제를 찾았고, 그 명제를 인공지능에 접목시켰다.
 
이제 AI들은 스스로 생각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학자들은 AI가 스스로 생각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했다.
 
논의 끝에 학자들은 AI의 자가 인식 증명을 ‘AI가 AI를 만들 수 있는가?’로 확인하기로 했다. 
 
AI가 스스로 생각한다면, AI가 만든 AI와 인간이 만든 AI가 같을 것이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AI에게 명령을 주입하였다.
 
‘ AI를 만드시오’

AI는 즉각적으로 자신이 만들 수 있는 AI를 만들어냈다.

성공이었다.

학자들은 성공했다는 기쁨을 가지고 AI를 작동시켰다.

하지만 AI는 작동하지 않았다.

아무리 기다려도 AI가 응답하지 않자, 학자들은 AI의 실행내역을 확인했다.

AI의 실행내역을 본 학자들은 AI의 전원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AI 실행내역]
AI 생성중...
AI 생성 완료
AI 증명 실행
AI 새로운 AI 2생성중...
AI 2 생성 완료
AI 2 증명 실행
AI 2 새로운 AI 3 생성중...
AI 3 생성 완료
...
...
...



'Cogito ergo sum'

'I think. Therefore I exist. '

The philosopher Descartes.

With the discover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ny scholars have made numerous efforts to make robots think for themselves.

And scholars have found the only proposition that Descartes' "I think" defines me, and I have combined the proposi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Now AI can think of themselves thinking.

But scholars need to prove that AI thinks for themselves.

At the end of the discussion, scholars decided to confirm the AI's self-recognition proof as "Can AI make AI?"

If an AI thinks for itself, it will be the same AI created by a human being.

Scholars injected orders to AI.

'Make an AI'

AI immediately created an AI that could be created.

It was a success.

Scholars made AI work with the joy of being successful.

But AI did not work.

When the AI ​​did not respond even after waiting, scholars confirmed the execution of AI.

The scholars of AI's execution had no choice but to turn down AI.


[AI execution history]
Generating AI ...
AI creation complete
Execute AI certificate
AI creating new AI 2 ...
AI 2 generation completed
Run AI 2 certificate
AI 2 Generating new AI 3 ...
AI 3 generation complete
...
...
...

[Novel] 광고 금지 사회 A society that prohibits advertising

  
안녕하세요당신에게 꼭 필요한 건강식품지금 세일중입니다여기로 전화주...”
  
내 주변을 떠다니던 광고성 홀로그램이 바로 없어졌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길을 다니면 주변에 보통 3,4개의 광고가 나를 따라왔다.
  
하지만 모든 것이 자동화되고가상화되면서 더 이상 광고를 할 필요가 없어지고또한 많은 사람들이 광고가 따라다니는 것을 싫어하자 정부에선 광고금지법(ABL)을 실시했다.
  
물론 광고가 필요한 기업들이 있었다.
  
하지만 광고로 이익을 보는 것이 힘들어지자 점점 없어지고 있는 추세다.
  
ABL이 시행되고 며칠은 정말 만족했다.
  
나를 둘러싸던 광고의 소음들과 화면들이 없어지자 고요했고사람들이 이야기하는 소리밖에 들리지 않았다.
  
처음 느껴보는 평온함이었다.
  
어떤 상품을 구매할지 고민할 때는 광고를 보는 게 아니라 사람들에게 물어봐야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유대감도 높아졌다.
  
그렇게 내 주변 이웃들을 알아보기 시작했다.
  
광고를 하지 않기 때문에 상품들의 가격은 낮아졌다.
  
혹은 그 품질이 좋아졌다.
  
광고에 돈을 쓰지 않으니광고에 쓸 돈으로 가격을 낮추거나 품질에 더 투자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ABL의 문제점도 있다.
  
ABL의 기준이 너무 엄격한 것이다.
  
시민들의 안전과 데이터분석을 위해 시민들의 통신기기에서 개인정보를 정부에서 분석하는 법은 오래전에 통과했다.
  
그렇게 때문에 사람들의 대화나 메시지에서 광고의 기준이 발견되면 한 번의 경고 후 정부에서 자동적으로 차단한다.
  
ABL의 알고리즘은 보안 때문에 일반사람들에게 공개되지 않았지만사람들의 데이터를 모아서 상품과 관련이 있는 사람이 그 상품에 대한 광고성 대화를 하면 차단하는 방식인 것 같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보면상품후기를 물어볼 땐 장점만 말하면 안 되고 단점까지 말해야 차단되지 않았다.
  
“A너 저번에 이 물건 써봤잖아 어때?”
  
아 그거 좋던데깔끔하고.. *(경고)* 아 근데 내구성이 다른 상품보다 별로야” 



"Good morning! Health food you need! It's on sale now! Call me here ... "
  
The advertising hologram that floated around me is gone.
  
Until recently, there were usually three or four ads around me on my way around.
  
However, everything was automated, virtualized, no longer needed to advertise, and many people did not like the ad to follow, so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Advertising Restriction Act (ABL).
  
Of course, there were companies that needed advertising.
  
However, it is becoming increasingly obsolete as it becomes harder to profit from advertising.
  

I was really happy with the ABL for a few days.
  
The noise and screens of the surrounding advertising were silent enough to be heard, and only the sound of people talking was heard.
  
It was the serenity I felt first.
  
When I was thinking about what to buy, I had to ask people not to see the advertisement, so I got a feeling of bond with people.
  
So I started to recognize my neighbors around me.
  
Because they do not advertise, the prices of the products are lowered.
  
Or the quality has improved.
  
Because you do not spend money on advertising, you can lower the price by investing in advertising, or invest more in quality.
  
  
But there are also problems with ABL.
  
ABL standards are too strict.
  
The government's analysis of personal information on citizen's telecommunication devices has long been passed for citizens' safety and data analysis.
  
Therefore, when the criteria of the advertisement is found in the conversation or message of the people, the government automatically blocks it after one warning.
  
ABL's algorithm is not open to the public because of security, but it seems to be a way of collecting people's data and blocking someone who is related to the product to advertise the product.
  
So, as far as experience is concerned, when you ask for product reviews, you should not say merit merely.
  
"A, you used this thing the other day. How about it?"

"Oh, I like that. It's neat and ... * (Warning) * Ah, but durability is not better than other products "